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레바논 내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레바논 내전은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지속된 복잡한 다종교, 다국적 분쟁으로, 약 15만 명의 사망자를 냈다. 역사적으로 기독교인이 다수였던 레바논은 프랑스의 위임 통치 이후 인위적으로 국경이 설정되면서 종파 간 갈등이 심화되었고, 1958년 레바논 위기를 겪었다. 1970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유입과 이스라엘의 공격, 그리고 종파 간의 대립이 격화되면서 내전이 발발했다.

내전은 여러 단계를 거치며, 레바논 전선, 레바논 국민 운동 등 다양한 세력 간의 충돌, 시리아와 이스라엘의 개입으로 이어졌다. 1982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 사브라-샤틸라 학살, 1983년 미국 대사관 및 병영 테러 등 굵직한 사건들이 발생했다. 1989년 타이프 협정으로 내전 종식의 기틀이 마련되었지만, 1990년 시리아의 개입으로 아운 장군이 축출되고, 1991년 사면법 통과로 공식적인 종전이 이루어졌다.

내전은 레바논 사회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으며, 시리아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헤즈볼라의 부상, 팔레스타인 난민의 궁핍, 경제적 쇠퇴 등 여러 문제점을 남겼고, "레바논화"라는 용어는 실패한 국가를 비유하는 데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바논 내전 - 사브라-샤틸라 학살
    사브라-샤틸라 학살은 1982년 이스라엘군의 지원을 받은 레바논 기독교 민병대가 베이루트의 팔레스타인 난민 캠프에서 자행한 학살 사건으로, 수백 명에서 수천 명의 민간인이 사망했으며 국제적인 논쟁과 유엔의 규탄을 야기했다.
  • 레바논 내전 - 카타이브 규제군
    카타이브 규제군은 1961년 레바논 팔랑헤당의 명령으로 창설되어 당의 집회 보호 및 질서 유지 역할을 수행했으며, 레바논 내전 중에는 당의 무장 역량 강화에 기여했으나 1980년 레바논 군대에 통합되며 해산되었다.
  • 레바논의 역사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레바논의 역사 -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
    프랑스 위임통치령 시리아는 프랑스가 국제연맹으로부터 위임받아 1920년부터 1946년까지 통치한 시리아 지역으로, 프랑스의 분할 통치와 시리아 민족주의 운동의 저항을 겪었으며, 1946년 독립 후에도 위임 통치 시대의 유산이 남아있다.
  • 이슬람 혁명 수비대 - 카타이브 헤즈볼라
    카타이브 헤즈볼라는 이란 쿠드스군의 지원을 받는 이라크 시아파 무장단체로, 다국적군 공격, 테러 단체 지정, 인민동원군 참여, 시위 진압 논란, 사령관 사망 등으로 미국과 갈등을 겪고 있다.
  • 이슬람 혁명 수비대 -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752편 격추 사건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752편 격추 사건은 2020년 1월 8일 이란에서 발생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이란 혁명수비대가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소속 여객기를 격추하여 탑승자 176명 전원이 사망했으며, 이는 국제적 비난과 법적 공방을 야기했다.
레바논 내전
개요
분쟁레바논 내전
일부냉전
아랍 냉전
아랍-이스라엘 분쟁
이란-이스라엘
이란-사우디 대리전
장소레바논
기간1975년 4월 13일 – 1990년 10월 13일 (15년 6개월)
결과타이프 협정 체결
레바논 의회에서 기독교도 대 무슬림 대표 비율 55:45에서 50:50으로 조정
무슬림에게 예약된 총리 직위의 정치적 권한이 기독교도에게 예약된 대통령 직위보다 강화됨
헤즈볼라를 제외한 모든 레바논 및 비레바논 민병대의 무장 해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PLO)와 레바논 간의 계속되는 적대 행위와 1982년 레바논 전쟁에서 PLO가 튀니스로 추방됨
1991년 시돈 전투 이후 팔레스타인인들이 레바논에서 추방됨
자유 레바논 국가 (1984년)와 이스라엘의 남레바논 보안지대 (2000년) 붕괴
셰바 농장 분쟁에서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간의 계속된 전투로 2006년 레바논 전쟁으로 이어짐
1990년 이후 레바논 전역에서 헤즈볼라의 무력이 지배적임
영토 변화시리아가 2005년 4월 30일까지 레바논 북부/동부를 점령
이스라엘이 2000년 5월 25일까지 레바논 남부를 점령
사망자120,000–150,000명 추정
교전 세력
교전 세력 1레바논 전선
카타이브
레바논군 민병대
마라다 여단 (1978년까지)
삼나무의 수호자
[[파일:Al-Tanzim logo.png|22px|border]] 알탄짐
레바논 청년 운동 (MKG)
코만도 티우스 팀
자흘리오트 그룹
슈라야당
마아니 군대 전위대 (MDJ)
기타 소규모 단체
자유 레바논군 (1977년까지)
SLA (1976년부터)
(1978년부터)
[[파일:Ahrar flag.gif|23px|border]] 티그리스 민병대 (1980년까지)
교전 세력 2레바논 국민운동 (1975–1982)
자물 (1982–1990)
알무라비툰
진보사회당 (PSP)
레바논 공산당 (LCP)
레바논 시리아 사회민족당 (SSNP)
[[파일:OACLsymbol.PNG|22px|border]] 레바논 공산주의 행동 기구 (OCAL)
파타 지원 레바논 운동 (LMSF)
아랍 사회주의 바트당 - 레바논 지역
레바논 혁명 공산주의 그룹
2월 6일 운동
사회주의 아랍 레바논 전위당 (SALVP)
인민 나세르주의 조직 (PNO)
레바논 아랍군 (LAA)
기타 소규모 단체
PLO (1975–83)
ASALA
헤즈볼라 (1985–1990)
(1980년부터, 주로 IRGC 및 육군 준군사 부대)
이슬람 통일 운동 (1982년부터)
교전 세력 3시리아 (1976, 1983–1991)
아말 운동
PNSF
마라다 여단 (1978년 LF에서 이탈, 시리아와 제휴)
교전 세력 4레바논군
교전 세력 5UNIFIL (1978년부터)
레바논 다국적군 (1982–1984)




아랍 억지군 (1976–1982)
(1976–79)
(1976–79)
(1976–79)
리비아 (1976년만)
(1976–77)
지휘관
지휘관 1바시르 게마엘
아민 게마엘
윌리엄 하위
엘리 호베이카
사미르 게아게아
에티엔 사크르
[[파일:Al-Tanzim logo.png|22px|border]] 조르주 아드완
사드 하디드 #
앙투안 라하드
메나헴 베긴
아리엘 샤론
라파엘 에이탄
아비그도르 벤갈
[[파일:Ahrar flag.gif|23px|border]] 다니 샤문
지휘관 2카말 줌블라트
왈리드 줌블라트
이남 라드
압달라 사아데
아셈 칸소
조르주 하위
엘리아스 아탈라
무흐신 이브라힘
이브라힘 쿨라일라트
알리 에이드
야세르 아라파트
조지 하바시
하곱 하고피안
몬테 멜코니안
수브히 알-투파일리
압바스 알무사위
사이드 샤반
지휘관 3하페즈 알 아사드
무스타파 틀라스
나비흐 베리
토니 프랑지
지휘관 4미셸 아운
지휘관 5엠마누엘 어스킨
윌리엄 오캘러한
구스타프 해글런드
티모시 J. 제라티
병력 규모
병력 규모 325,000명 (1976년)
병력 규모 41,200명
1,000명
1,000명
700명
700명
관련 전투
주요 전투제1단계: 1975–1977년
버스 학살
검은 목요일
호텔 전투
ASALA 반란
검은 토요일
카란티나 학살
다무르 학살
1976년 시리아 개입
텔알자타르 학살
체카 학살
아이시예 학살
제2단계: 1977–1982년
초우프 학살
성 조지 교회 공격
100일 전쟁
1978년 남부 레바논 분쟁
카우카바 전투
에흐덴 학살
카아 학살
크낫 전투
아뜨 티리 사건
사프라 학살
자흘레 전투
1981년 이스라엘 폭격
이라크 대사관 폭격
제3단계: 1982–1984년
1982년 베이루트 폭격
1982년 레바논 전쟁
1982년 이란 외교관 납치
레바논 다국적군
바시르 게마엘 암살
사브라 샤틸라 학살
PLO 철수
미국 대사관 폭격
병영 폭격
산악 전쟁
트리폴리 전투
2월 6일 봉기
1984년 소모르 학살
제4단계: 1984–1990년
미국 대사관 별관 폭격
캠프 전쟁
1985년 베이루트 차량 폭탄 테러
보르 함무드 학살
1986년 1월 레바논군 쿠데타
라시드 카라미 암살
형제 전쟁
해방 전쟁
다르 알와시 학살
제거 전쟁
레네 무아와드 암살
시돈 전투
분할된 영토 및 괴뢰 정권
동베이루트 구역
티레 인민 공화국
파타랜드
산악 지역 민간 행정부
자유 레바논 국가
이스라엘의 남부 레바논 점령
행정부
추가 정보
1982년 순교자 광장

2. 역사적 배경

레바논 산맥의 레바논 병사(1861년~1914년)


레바논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종파가 공존하는 사회였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이슬람교의 한 종파인 드루즈파가 "소레바논"이라 불리는 지역을 지배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는 "대레바논"이라 불리는 더 넓은 지역을 포함하여 레바논의 국경선을 설정했다. 이는 마론파 기독교인을 포함한 레바논 독립 운동을 억제하려는 의도였다.[19] 이러한 인위적인 국경 설정은 종파 간 갈등의 씨앗이 되었다.

독립 운동을 주도한 마론파와 드루즈파는 레바논에 대한 귀속 의식이 강했다. 반면, 수니파시아파 이슬람교도, 그리스 정교도는 시리아에 더 강한 유대감을 느꼈다. 비교적 최근에 이주해 온 아르메니아인들은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레바논은 어느 한 종파가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지 못하고, 여러 종파가 비슷한 비율로 존재하는 사회였다. 1932년 조사에 따르면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비율은 6:5였다. 이를 바탕으로 독립 시 "국민 협약"이 체결되어 대통령은 기독교도, 총리는 수니파, 국회의장은 시아파로 종파별로 권력을 분배했다. 그러나 이후 인구 조사가 실시되지 않아 무슬림 인구 증가가 반영되지 않았고, 이는 무슬림의 불만을 야기했다.

각 종파는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거주하며, 마을, 학교, 사회 풍습, 심지어 군대까지 종파별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분열은 통일된 국민 국가 형성을 저해하고, 국가보다는 종파에 대한 충성심을 강화했다. 이는 결국 내전에서 시리아와 이란의 개입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었다.

2. 1. 오스만 제국과 유럽의 통치

1860년, 오스만 제국의 레바논 산지 주에서 드루즈족과 마론파 기독교인 사이에 내전이 발발했다. 이 전쟁으로 약 1만 명의 기독교인과 최소 6,000명의 드루즈족이 학살당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은 레바논인들에게 혹독한 시련이었다. 대부분의 아랍인들은 오스만 군대에서 영국과 프랑스 침략자들과 싸웠다.[14][15][16][17][18]

오스만 제국의 몰락과 해체 (1908–1922)과 함께 프랑스 침략자들은 국제 연맹의 승인 하에 프랑스의 시리아와 레바논 위임통치라 명명한 지역을 장악했다. 프랑스는 마론파 기독교인들을 위한 안전지대를 확보하고자 대레바논 국가를 건설했지만, 국경 내에는 많은 무슬림 인구가 포함되었다.[19]

제1차 세계 대전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쳐 주변 아랍 국가들이 독립하면서, 역사적으로 기독교인이 많은 레바논은 중동에서 기독교인이 중심이 된 몇 안 되는 국가가 되었다. 원래 레바논의 영역은 "소레바논"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이 지역을 지배했던 이슬람교의 한 종파인 드루즈파의 영주(아미르) 파할 앗딘의 지배 지역을 근거로 한다. 오랫동안 이 지역이 진정한 레바논으로 여겨졌지만, 제1차 세계 대전 후 사실상 종주국이 된 프랑스는 원래의 레바논 영역(소레바논)을 크게 넘어 "대레바논"이라고 불리는 원래 시리아 영역으로 여겨지는 베카 계곡, 레바논 북부 및 트리폴리(트리폴리(레바논)), 레바논 남부를 포함하여 국경선을 설정했다. 이것은 마론파를 포함한 레바논 독립 운동을 저지하려는 프랑스의 분할 통치 정책의 하나였다.

2. 2. 레바논의 독립

1926년, 레바논은 공화국으로 선포되었고 헌법이 채택되었으나, 1932년 헌법은 정지되었다.[20] 여러 당파들이 시리아와의 통합 또는 프랑스로부터의 독립을 추구했다.[20] 1936년, 마론파 기독교 정당인 팔랑주당이 피에르 게마이엘에 의해 창당되었다.[21]

제2차 세계 대전과 1940년대는 레바논과 중동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레바논은 독립을 약속받았고, 1943년 11월 22일에 독립을 쟁취했다. 1941년 베이루트에서 비시 프랑스군을 축출하기 위해 레바논을 침공했던 자유 프랑스군은 1946년 레바논을 떠났다. 마론파가 레바논의 권력과 경제를 장악했다. 무슬림기독교인 모두에게 정해진 의석수를 가진 의회가 만들어졌다. 따라서 대통령은 마론파, 총리는 수니파 무슬림, 의회 의장은 시아파 무슬림이 되도록 하는 국민 협약이 이루어졌다.

1947년, 팔레스타인 분할 계획은 팔레스타인 내전과 팔레스타인 위임 통치령의 종식, 그리고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 독립 선언으로 이어졌다. 진행 중이던 내전은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의 국가 간 갈등인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으로 변모했다. 이로 인해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레바논 국경을 넘어 들어왔다.

2. 3. 1958년 레바논 위기

1958년 레바논 위기는 마론파 기독교인과 무슬림 간의 내전 위협으로 발생했다. 당시 카밀 샤문 대통령은 레바논의 전통적인 정치 가문들이 정치에 행사하는 압력을 깨뜨리려고 시도했다. 1956년, 수에즈 운하를 공격한 서방 열강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지 않은 샤문 대통령 때문에 이집트와의 긴장이 고조되었고, 이는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을 분노하게 했다. 샤문 대통령은 미국의 개입을 요청했고, 미국은 냉전 상황에서 레바논에 개입했다.[1]

3. 세력 구도 및 갈등의 심화

레바논 내전은 종파 간의 갈등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치적 이념을 가진 세력들이 복잡하게 얽혀 전개되었다. 1975년 전쟁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을 때 팔레스타인 무장 병력은 약 2만 1천 명에 달했다.[35]

레바논 내전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 (1975년)[35]
그룹무장 병력
파타7,000
아사이카4,500
팔레스타인 해방 민주전선2,500
아랍 해방 전선2,500
인민 저항군2,200
PFLP2,000
PFLP–GC2,000
인민 투쟁 전선200
합계20,900



레바논에서 가장 빈곤한 공동체였던 시아파는 처음에는 다양한 정당과 단체에 참여하여 좌익 정치 세력의 대중적 기반을 형성했다.[36][37][38] 이들은 공산주의 정당, 바트당, 알무라비툰, 시리아 사회 민족주의당 등 다양한 정당에 가입했으며, 일부는 팔레스타인 계파에도 가입했다.[37][42][36][41][39] 1975년 무사 사드르는 아말 운동을 설립하여 대표되지 않은 시아파를 끌어들였고, 무장 세력은 빠르게 성장했다.[37][44][42] 1982년 이스라엘 침공 이후 헤즈볼라가 설립되면서 시아파의 지지는 급격히 변화했다.[46][47][42][48] 헤즈볼라는 이스라엘 점령과 서구 영향력 종식을 목표로 했고, 많은 젊은 시아파들이 헤즈볼라에 입대했다.[47] 1988년 헤즈볼라 민병대는 2만 5천 명의 전투원을 보유했으며, 1990년대에는 가장 조직화된 시아파 정당이 되었다.[50][51]

1976년 시리아의 군사 개입 당시, 시리아는 이스라엘과 '레드라인 협정'을 맺었다. 이 협정은 베이루트 남쪽에 시리아군 주력 부대를 주둔시키지 않고, 레바논에서 이스라엘을 사정권에 두는 장거리 무기를 배치하지 않으며, 전투기와 폭격기를 레바논에 주둔시키지 않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무기를 사용하여 기독교도에게 불필요하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조건도 포함되었다.

전쟁 초기, 쿠르드 노동자당은 레바논에 훈련 캠프를 두고 시리아와 PLO의 지원을 받았다. 이스라엘 침공 당시 모든 PKK 부대는 이스라엘군과 싸우라는 명령을 받았고, 이 과정에서 11명의 PKK 전투원이 사망했다.[30][31][32] 마흐숨 코르크마즈는 레바논에 있는 모든 PKK 부대의 사령관이었다.[30][31][32]

아르메니아 마르크스-레닌주의 민병대인 ASALA는 1975년 서베이루트의 PLO 통제 지역에서 설립되었다. 팔레스타인인들과 긴밀히 연합한 ASALA는 레바논 국민 운동과 PLO 편에서 많은 전투를 치렀다.[33][34]

3. 1. 마론파 기독교 세력

마론파 기독교 민병대는 레바논 내전의 주요 세력 중 하나였다. 이들은 국가 북부의 마론파 인구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주요 마론파 민병대로는 국민자유당(NLP)의 호랑이 민병대, 카타에브당(팔랑헤당)의 카타에브 규제군, 그리고 레바논 전선의 레바논군 등이 있었다.

전쟁 발발 전과 초기 단계에서 민병대들은 정치적으로 지향하는 비종파적 세력이 되려고 했지만, 레바논 사회의 종파적 성격 때문에 불가피하게 지도자들과 같은 종파 출신 사람들로부터 지지를 얻게 되었다. 결국 거의 모든 민병대가 특정 종파와 공개적으로 연대하게 되었다.[53]

3. 2. 무슬림 세력

레바논 내 수니파 세력은 리비아이라크로부터 지원을 받았으며, 내전 기간 내내 수니파의 군사 조직 참여에 대한 전반적인 소극성으로 인해 많은 소규모 민병대가 존재했다.[52] 주요 단체들은 세속적이었고 나세르주의 이념을 지지하거나, 범아랍주의아랍 민족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52] 전쟁 후반기에 몇몇 이슬람주의 단체들이 등장했는데, 트리폴리에 기지를 둔 투히드 운동과 정치적 방향 및 실행 면에서 무슬림 형제단의 레바논적 표현을 보여준 자마아 이슬라미야가 있었다.[52]

주요 수니파 주도 조직은 서베이루트를 기반으로 한 알무라비툰이었다.[52] 이브라힘 쿨라일라트가 이끄는 이들은 1982년 이스라엘 침공 당시 팔레스타인인들과 함께 이스라엘군과 싸웠다.[52] 시돈의 인민 나세르주의 조직은 마루프 사드의 추종자들을 통해 결성되었고, 나중에 그의 아들 무스타파 사드 뒤를 따랐으며, 현재는 우사마 사드가 이끌고 있다.[52] 2월 6일 운동은 1980년대 캠프 전쟁에서 PLO와 연합한 또 다른 친팔레스타인 나세르주의 소규모 민병대였다.[52]

레바논의 알라위파시아파 이슬람의 한 분파 신도들로, 시리아에서 알라위파가 우세했기 때문에 친시리아 성향을 띠었던 아랍 민주당의 1,000명 규모의 레드 나이츠 민병대에 의해 대표되었다.[52] 이들은 주로 트리폴리를 중심으로 레바논 북부에서 활동했다.[52]

3. 3. 드루즈파

레바논 중부 슈프 지역에 거주하는 드루즈파는 진보사회당(PSP)을 중심으로 활동했다. 카말 주블라트와 그의 아들 왈리드 주블라트가 이끄는 PSP는 레바논 국민 운동의 주요 세력이었으며, 소련시리아의 지원을 받았다.[28]

3. 4.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

1970년 요르단에서 추방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는 레바논으로 이동하여 내전에 개입했다. PLO는 파타,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PFLP),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DFLP) 등 다양한 분파로 구성되어 있었다. PLO는 레바논 남부를 거점으로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으며, 이는 레바논 내전의 주요 갈등 요인 중 하나였다.[33][34]

1982년 6월 6일, PLO의 주영 대사에 대한 테러에 대한 보복과 PLO 철수를 명분으로 이스라엘이 레바논 국경을 넘어 침공했다. (1982 Lebanon War|라벨=레바논 전쟁영어) 이스라엘군은 레바논에 주둔하는 시리아군을 격파했고, 6월 13일 서베이루트에 진입하여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다. 격렬하게 저항하던 PLO는 8월 21일 휴전에 응했고, 8월 30일 야세르 아라파트가 이끄는 PLO 지도부와 주력 부대는 튀니지로 추방되었다.[30][31][32]

3. 5. 세속주의 세력

레바논 내전에는 레바논 공산당, 공산주의 행동 조직, 시리아 사회 민족당(SSNP), 남레바논군(SLA), 바트당 등 다양한 세속주의 세력도 참여했다.[35]

4. 내전의 전개

1860년, 오스만 제국의 레바논 산지 주에서 드루즈족과 마론파 기독교인 사이에 내전이 발발하여 약 1만 명의 기독교인과 최소 6,000명의 드루즈족이 학살당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대부분의 아랍인들은 오스만 군대에서 영국 및 프랑스 침략자들과 싸웠다.[14][15][16][17][18] 오스만 제국의 몰락과 해체 (1908–1922) 이후, 프랑스는 국제 연맹의 승인 하에 프랑스의 시리아와 레바논 위임통치 지역을 장악하고 대레바논 국가를 건설했다.[19]

1926년, 레바논은 공화국으로 선포되었고 헌법이 채택되었으나, 1932년 헌법은 정지되었다.[20] 1936년에는 피에르 게마이엘에 의해 마론파 기독교 정당인 팔랑주당이 창당되었다.[2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레바논은 1943년 11월 22일에 독립을 쟁취했다. 1946년 자유 프랑스군이 레바논을 떠났고, 마론파가 레바논의 권력과 경제를 장악했다. 무슬림기독교인 모두에게 정해진 의석수를 가진 의회가 만들어졌으며, 대통령은 마론파, 총리는 수니파 무슬림, 의회 의장은 시아파 무슬림이 맡도록 했다.

1947년, 팔레스타인 분할 계획은 팔레스타인 내전과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으로 이어졌고,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레바논으로 유입되었다.

1958년, 마론파 기독교인과 무슬림 간의 내전 위협이 발생했다. 카밀 샤문 대통령은 전통적인 정치 가문들의 압력을 깨뜨리려 했고, 이는 "파샤들의 전쟁"으로 불리는 갈등을 야기했다.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은 냉전 시기 카밀 샤문 대통령의 친서방 정책을 비판하며 긴장이 고조되었다. 라시드 카라미 총리는 나세르를 지지했고, 레바논 무슬림들은 아랍 연합 공화국 가입을 압박했지만, 마론파는 레바논의 독립 유지를 원했다. 샤문 대통령은 미국의 개입을 요청했고, 조지 하바시가 이끄는 아랍 민족주의 운동(ANM)과 파타 창립 멤버들이 레바논에 배치되어 반란을 지원했다. 파랑주 민병대는 대통령을 돕기 위해 반란 진압에 참여했다.

1960년대, 파타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계파들은 레바논 난민촌에서 활동했고, 1970년 후세인 국왕에 의해 축출된 후 레바논으로 이동했다. 이들은 레바논에서 "국가 안의 국가"를 만들었고, 레바논의 종파 간 균형을 흔들었다. 레바논 수니파 무슬림들은 팔레스타인에 대한 연대를 표명하며 정치 체제 변화를 추구했다. 레바논 민족운동(LNM) 내 일부 단체들은 세속적이고 민주적인 질서를 원했지만,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에 의해 격려받은 이슬람주의 단체들이 포함되면서 초기 의제는 변화되었다.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는 베이루트 서부를 요새로 만들었고, 파타 게릴라들이 PLO의 대부분 기관을 통제했다. 이들은 레바논 남부 지역을 통제하며 시아파 주민들에게 수모를 주었고, 베이루트에 무력으로 진입했다. PLO는 리비아와 알제리 출신 자원봉사자들과 수니파 레바논 단체들의 도움을 받았다.

1975년 2월, 시돈 어부들의 파업은 마루프 사드(Maarouf Saad)의 암살로 이어졌다. 시위는 좌파 정치 세력과 PLO의 지지를 받는 정치 행동으로 변모했고, 정부는 시위대를 진압하려 했다.

전쟁 발발 전후, 민병대들은 정치적 지향을 가진 비종파적 세력이 되려 했지만, 레바논 사회의 종파적 성격 때문에 특정 종파와 연대하게 되었다. 레바논 전선은 국민주의 마론파 기독교도들로, 레바논 국민 운동은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좌파들로 구성되었다. 민병대들은 인권을 거의 고려하지 않았고, 비전투원 민간인들이 표적이 되었다.

시아파는 공산주의 정당, 바아스당 계파, 나세르주의자, 시리아 사회 민족주의당, 팔레스타인 계파 등 다양한 정당과 단체에 참여했다. 1975년, 무사 사드르는 가난한 자들의 운동(아말)을 설립하여 대표되지 않은 시아파를 끌어들였다. 1982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 이후 헤즈볼라가 설립되어 많은 젊은 시아파들을 끌어들였다. 1990년대까지 헤즈볼라는 가장 조직화된 시아파 정당이 되었다.

레바논 내전의 주요 사건들은 다음 표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레바논 내전의 결정적 사건 연표[55]
날짜사건
1975년 4월 13일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 카타에브당 기독교 민병대 간의 전투가 베이루트에서 발생하여 도시가 파괴되고 녹색선이 형성됨.
1976년 1월카란티나 학살과 다무르 학살 발생.
1976년 5월엘리아스 사르키스 대통령 선출.
1976년 여름텔 알 자아타르 학살 발생, 시리아군 개입.
1976년 10월아랍 연맹 정상회담, 평화유지군 배치 지원 휴전 합의.
1977년 3월~4월카말 줌블라트 암살 이후 슈프 지역에서 기독교인 학살 발생.[56][57]
1978년 2월~3월100일 전쟁 시작, 휴전 종료, 유엔군 파병.
1979년 2월이란 혁명 발생, 아말 운동 과격화.
1980년 7월바시르 게마이엘, 기독교 민병대 통합하여 레바논군 설립.
1982년 여름1982년 레바논 전쟁과 베이루트 포위 공격 발생, 바시르 게마이엘 대통령 선출 후 암살, 사브라와 샤틸라 학살 발생, 이스라엘군 철수, 아민 게마이엘 대통령 선출.
1983년 4월1983년 미국 대사관 폭탄 테러 발생.
1983년 여름산악 전쟁 시작.
1983년 10월1983년 베이루트 병영 폭탄 테러 발생.
1984년 2월레바논군, 서베이루트에서 축출, 아말 운동과 드루즈족의 진보사회당이 서베이루트 장악, 다국적군 철수.
1985년 2월이스라엘군 시돈 철수, 남부 점령 지속, 헤즈볼라 저항 강화, 캠프 전쟁 발생.
1985년 3월헤즈볼라 지도자 무하마드 후세인 파드랄라 암살 시도.
1987년 6월, 12월라시드 카라미 암살, 제1차 인티파다 시작.
1988년 9월아민 게마이엘 임기 만료, 미셸 아운 임시 총리 임명.
1989년 3월 14일미셸 아운, 시리아에 선전포고, 휴전 협상.
1989년 10월~11월타이프 협정 체결, 르네 무아와드 대통령 선출 후 암살, 엘리아스 하라위 대통령 선출, 미셸 아운 거부.
1990년 1월 30일레바논군 간 격렬한 전투 시작, 아말 운동헤즈볼라 간 전투, 이스라엘 점령 저항 지속.
1990년 10월 13일미셸 아운 축출, 10월 13일 학살 발생, 셀림 호스 지휘권 인계, 무장 세력 통합.
1990년 12월 24일오마르 카라미 지휘 아래 타이프 협정 실행.
1991년 8월 26일의회, 일반 사면법 통과.
1992년 여름1992년 레바논 총선 실시.


4. 1. 1단계 (1975-1977)

1975년 4월, 베이루트에서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과 카타에브당(팔랑헤당) 간의 충돌(아인 룸마네 사건, 버스 학살)이 발생하면서 내전이 시작되었다.[55] 이 사건으로 베이루트 시내 중심가는 완전히 파괴되었고, 도시의 두 지역 사이에 녹색선이라는 경계선이 형성되었다.[55] 양측에 많은 민병대가 형성되었고, 수백 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거나 인질로 잡혔으며, 정부와 군대는 분열되었다.[55]

1975년 12월, 블랙 새터데이 사건으로 민병대 간의 전면전이 시작되었다. 1976년 1월에는 카란티나 학살과 다무르 학살 등 종파 간 학살이 발생하면서 베이루트는 동서로 분열되었다.[55]

1976년, 시리아가 레바논에 개입하여 팔레스타인과 좌익 민병대에 대한 작전을 시작했다.[55] 5월에는 엘리아스 사르키스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55] 같은 해 여름, 텔 알 자아타르 학살이 발생했다.[55] 10월, 아랍 연맹 정상회담의 제안에 따라 시리아는 레바논에 병력을 유지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다.[55]

4. 2. 2단계 (1977-1982)

1978년, 레바논군과 시리아군 간에 100일 전쟁이 발발하여 휴전이 종료되었다.[56][57] 유엔은 군대를 파병했고, 외국 세력은 전쟁 양측에 지원을 제공했다.

같은 해, 이스라엘이 레바논을 침공하여 리타니 강 이남 지역을 점령했다( 리타니 작전). 이스라엘은 레바논 남부에 안전지대를 설정하고, 사드 하다드가 이끄는 남레바논군(SLA)을 지원했다. SLA는 레바논군 내 마론파 기독교 세력인 자유 레바논군에서 분리되어 시작되었으며, "자유 레바논 정부"라는 이스라엘의 지원을 받는 평행 정부를 위해 일했다. SLA의 초기 목표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갈릴리 공격을 막는 것이었지만, 나중에는 헤즈볼라와의 싸움에 집중했다.

1981년, 시리아는 베카 계곡에 지대공 미사일을 배치하여 이스라엘과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4. 3. 3단계 (1982-1984)

1982년 이스라엘은 레바논을 재침공하여 베이루트를 포위했다[55]). 그해 바시르 게마엘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지만, 당선 22일 만에 암살당했다[55]). 이후 사브라-샤틸라 학살이 발생하여 수많은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희생되었다[55]).

1983년 레바논, 이스라엘, 미국 간의 5월 17일 협정이 체결되었지만, 시리아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같은 해, 레바논 산악 전쟁이 발발하여 드루즈족과 마론파 민병대 간의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55]). 또한 베이루트에서 미국 대사관과 미군 및 프랑스군 병영에 대한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했다[55]).

1984년 레바논 정부는 5월 17일 협정을 취소했고, 다국적군은 레바논에서 철수했다[55]).

4. 4. 4단계 (1984-1990)

1985년부터 1989년까지 종파 갈등은 더욱 심해졌고, 시리아의 지원을 받는 아말 민병대PLO 사이에 캠프 전쟁이 발발했다.[55] 1988년에는 시아파 지역에서 아말 운동헤즈볼라 사이에 격렬한 충돌(형제들의 전쟁)이 벌어지기도 했다.[55]

1989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중재로 타이프 협정이 체결되어 내전 종식과 국가 재건의 기반을 마련했다.[55] 비록 헤즈볼라, 친이스라엘계 남레바논군, 아운파 등을 제외한 많은 조직들이 이 협정에 동의했지만, 아운파는 완강하게 거부했다.[55]

1988년, 아민 제마이엘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되자, 그는 이슬람교도의 자리인 총리에 마론파인 미셸 아운을 임명했다.[55] 아민 제마이엘은 미국으로 망명하였고, 시리아는 미셸 아운의 총리 취임을 거부하며 수니파인 살림 후세를 총리로 내세웠다.[55] 시리아는 르네 무아와드를 대통령으로 선출했지만, 미셸 아운은 이를 인정하지 않아 이중 권력 상태가 되었다.[55] 르네 무아와드는 1989년 11월 22일에 암살당했고, 엘리아스 하라위가 대통령직을 승계했다.[55]

미셸 아운이라크의 지원 중단과 미국 등 외국의 엘리아스 하라위 정권 인정, 그리고 LF와의 대립으로 인해 고립되었다.[55] 미국걸프 전쟁에 대한 시리아의 파병 대가로 시리아에 내전 종식을 일임했고, 시리아미셸 아운파에 대한 대규모 군사 작전을 수행했다.[55]

1990년 1월 30일, 미셸 아운의 지휘 아래 레바논군과 레바논군 사이에 격렬한 전투가 시작되었다.[55] 아말 운동헤즈볼라 간의 전투, 그리고 이스라엘 점령에 대한 저항도 계속되었다.[55] 1990년 10월 13일, 미셸 아운은 대통령궁에서 쫓겨나 망명했고, 10월 13일 학살이 발생했다.[55] 셀림 호스가 국가 지휘권을 인계받고, 무장 세력은 중앙 사령부 아래 통합되었다.[55] 1990년 12월 24일, 오마르 카라미의 지휘 아래 타이프 협정이 처음으로 실행되었다.[55] 1991년 8월 26일, 의회는 일반 사면법을 통과시켰다.[55]

5. 내전의 결과 및 영향

레바논 내전은 15만 명 이상의 사망자와 10만 명 이상의 영구 장애인을 발생시켰으며, 수많은 난민과 이민자를 낳았다. 내전은 레바논의 사회, 경제, 정치 시스템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으며, 종파 간 갈등을 심화시켰다. 내전 이후, 레바논은 시리아의 실질적인 지배하에 놓였으며, 헤즈볼라와 같은 무장 세력의 영향력이 강화되었다. 2005년, 라피크 하리리 전 총리의 암살은 시리아군 철수를 요구하는 시더 혁명을 촉발시켰다. 레바논 내전의 경험은 "레바논화"라는 용어를 통해 다른 분쟁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다음 표는 레바논 내전의 주요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정리한 것이다.[55]

레바논 내전 주요 사건 연표
날짜사건
1975년 4월 13일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 카타에브 기독교 민병대 간의 전투가 베이루트 일부 지역, 특히 시내 중심가로 확산. 도시가 완전히 파괴되고, 도시의 두 지역 사이에 녹색선이라는 경계선이 형성됨. 양측에 많은 민병대가 형성되고 수백 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거나 인질로 잡힘. 정부와 군대는 분열됨. 민병대는 국가의 많은 기능을 탈취함.
1976년 1월카란티나 학살과 다무르 학살 발생.
1976년 5월엘리아스 사르키스가 대통령으로 선출됨.
1976년 여름텔 알 자아타르 학살 발생. 시리아군이 처음으로 개입함.
1976년 10월평화유지군 배치를 지원하는 휴전을 위한 아랍연맹 정상회담 개최.
1977년 3월~4월카말 줌블라트 암살 이후 슈프 지역에서 기독교인에 대한 여러 차례의 학살 발생.[56][57]
1978년 2월~3월100일 전쟁이 시작되고 휴전은 끝남. 유엔은 군대를 파병하고 외국 세력은 전쟁 양측에 지원을 제공함.
1979년 2월이란 혁명 발생, 레바논의 아말 운동 즉 시아파 운동을 과격화시킴.
1980년 7월카타에브당 민병대 지도자 바시르 게마엘이 모든 기독교 민병대를 강제로 통합하여 레바논군이라는 정당을 설립함.
1982년 여름1982년 레바논 전쟁과 베이루트 포위 공격 발생. 바시르 게마엘이 8월 23일에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9월 14일에 암살당함. 그 직후 사브라와 샤틸라 학살 발생. 이스라엘군 철수. 아민 게마엘이 대통령으로 선출됨.
1982년 9월 14일바시르 게마엘이 1982년 8월 레바논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지 22일 만에 암살당함.
1983년 4월1983년 미국 대사관 폭탄 테러 발생.
1983년 여름산악 전쟁 시작.
1983년 10월1983년 베이루트 병영 폭탄 테러 발생.
1984년 2월이스라엘 철수 이후 베이루트를 장악했던 레바논군은 레바논군과의 편파성, 대량 체포 등의 혐의를 받음. 2월 6일 인티파다에서 패배한 후 서베이루트에서 축출됨. 아말 운동과 드루즈족의 진보사회당이 서베이루트를 장악함. 다국적군이 레바논에서 철수함.
1985년 2월이스라엘군이 시돈에서 철수하지만 남부에는 남아 있음. 이스라엘 점령에 대한 무장 저항, 특히 헤즈볼라의 저항이 강화됨. 캠프 전쟁 발생.
1985년 3월헤즈볼라 지도자 무하마드 후세인 파드랄라에 대한 암살 시도 발생.
1987년 6월, 12월라시드 카라미가 1987년 6월 1일에 암살당함. 제1차 인티파다가 시작되고 레바논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분노가 증가함. 수백 명의 레바논인과 팔레스타인인이 이스라엘 교도소 당국에 수감됨.
1988년 9월아민 게마엘의 대통령 임기가 만료되고 그는 육군 사령관 미셸 아운 장군을 임시 총리로 임명함.
1989년 3월 14일아운 장군은 레바논 내 시리아의 존재에 대해 선전포고를 함. 7개월간의 포격 끝에 아랍 연맹에 의해 휴전이 협상됨.
1989년 10월~11월타이프 협정 체결. 레네 무아와드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지만 17일 후 암살당함. 이후 엘리아스 하라위가 대통령으로 선출됨. 아운 장군은 이러한 대통령직의 정당성을 부인하고 새로운 육군 사령관이 임명됨.
1990년 1월 30일아운 장군의 지휘 아래 여전히 있는 레바논군과 레바논군 간에 격렬한 전투가 시작됨. 아말 운동헤즈볼라 간의 전투와 이스라엘 점령과 이스라엘의 보복 공격에 대한 지속적인 저항도 계속됨.
1990년 10월 13일아운 장군이 대통령궁에서 쫓겨나 망명 생활을 함. 10월 13일 학살 발생. 셀림 호스가 이스라엘이 여전히 점령하고 있는 지역을 제외한 국가의 지휘권을 인계받음. 무장 세력이 중앙 사령부 아래 통합됨.
1990년 12월 24일오마르 카라미의 지휘 아래 레바논 국가 화해가 이루어짐. 타이프 협정이 처음으로 실행됨.
1991년 8월 26일의회가 일반 사면법(Amnesty)을 통과시킴.
1992년 여름20년 만에 처음으로 1992년 레바논 총선이 치러짐.


6. 같이 보기


  • 1860년 레바논 내전
  • 오스만 제국의 몰락과 해체 (1908–1922)
  • 프랑스의 시리아와 레바논 위임통치
  • 팔랑주당
  • 카밀 샤문
  • 가말 압델 나세르
  • 라시드 카라미
  • 푸아드 셰하브
  • 피에르 게마이엘
  • 조지 하바시
  • 아랍 민족주의 운동
  • 팔레스타인 해방 인민 전선(PFLP)
  •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
  • 야세르 아라파트
  • 파타
  • 칼릴 와지르
  • 레바논 전선
  • 레바논 국민 운동
  • 레바논 국민 저항 전선

6. 1. 관련 사건

1860년, 오스만 제국의 레바논 산지 주(Mount Lebanon Mutasarrifate)에서 드루즈족과 마론파 기독교인 사이에 내전이 발발했다. 이 전쟁으로 약 1만 명의 기독교인과 최소 6,000명의 드루즈족이 학살당했다.[14][15][16][17][18]

제1차 세계 대전은 레바논인들에게 혹독한 시련이었다. 오스만 제국의 몰락과 해체 (1908–1922)과 함께 프랑스 침략자들은 국제 연맹의 승인 하에 프랑스의 시리아와 레바논 위임통치라 명명한 지역을 장악했다. 프랑스는 마론파 기독교인들을 위한 안전지대를 확보하고자 대레바논 국가를 건설했지만, 국경 내에는 많은 무슬림 인구가 포함되었다.[19]

1926년, 레바논은 공화국으로 선포되었고 헌법이 채택되었다. 그러나 1932년 헌법은 정지되었다. 여러 당파들이 시리아와의 통합 또는 프랑스로부터의 독립을 추구했다.[20] 1936년, 마론파 기독교 정당인 팔랑주당이 피에르 게마이엘에 의해 창당되었다.[21]

6. 2. 관련 인물

다음은 레바논 내전과 관련된 주요 인물들이다.

  • 카밀 샤문: 레바논의 대통령이었다. 1958년 레바논 위기 당시 냉전 상황에서 서방과의 관계를 유지하려 했으며, 이로 인해 가말 압델 나세르 이집트 대통령과 갈등을 겪었다. 아랍 연합 공화국 가입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 가말 압델 나세르: 이집트의 대통령이었다. 아랍 민족주의를 내세워 카밀 샤문 대통령과 대립했다. 아랍 연합 공화국을 통해 레바논을 포함한 아랍 국가들의 통합을 추구했다.
  • 라시드 카라미: 레바논의 총리이자 수니파 무슬림이었다. 1956년과 1958년에 가말 압델 나세르를 지지했다.
  • 푸아드 셰하브: 레바논의 마론파 군 사령관이었다. 1958년 위기 당시 무슬림 시위대에 대한 무력 사용을 자제했다.
  • 피에르 게마이엘: 팔랑주당의 창시자이다. 1958년 위기 이후 구성된 내각에서 자리를 얻었다.
  • 조지 하바시: 아랍 민족주의 운동(ANM)의 지도자였다. 나중에 팔레스타인 해방 인민 전선(PFLP)과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PLO)의 일부가 되었다. 나세르의 지원을 받아 레바논에 배치되었다.
  • 야세르 아라파트: 파타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다. 레바논에서 이스라엘과의 전쟁을 선동하려 했다.
  • 칼릴 와지르: 파타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으로, 야세르 아라파트와 함께 레바논에서 활동했다.

6. 3. 관련 조직

레바논 내전 발발 전과 초기 단계에서 민병대들은 정치적으로 지향하는 비종파적 세력이 되려고 했지만, 레바논 사회의 종파적 성격 때문에 불가피하게 지도자들과 같은 종파 출신 사람들로부터 지지를 얻게 되었다. 결국 거의 모든 민병대가 특정 종파와 공개적으로 연대하게 되었다. 두 주요 연합 세력은 레바논 내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에 반대하는 국민주의 마론파 기독교도들로 구성된 레바논 전선과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좌파들로 구성된 레바논 국민 운동이었다. 레바논 국민 운동은 1982년 이스라엘 침공 이후 해체되었고, 아랍어로 "잠물(Jammoul)"로 알려진 레바논 국민 저항 전선으로 대체되었다.[20][21]

참조

[1] 웹사이트 The Taif Agreement http://www.c-r.org/d[...] 2017-08-09
[2] 서적 Hizb'allah in Lebanon: The Politics of the Western Hostage Crisis St. Martins Press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ultinational Peacekeeping Scarecrow Press
[4] 서적 World Political Almanac
[5]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GENERAL ASSEMBLY RESOLUTION 60/251 OF 15 MARCH 2006 ENTITLED HUMAN RIGHTS COUNCIL https://web.archive.[...] UN Human Rights Council 2006-11-23
[6] 서적 Things Fall Apart: Containing the Spillover from an Iraqi Civil War
[7] 서적 Islam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8] 뉴스 Who are the Maronites? http://news.bbc.co.u[...] BBC News – Middle East 2007-08-06
[9] 문서 Beware of Small States: Lebanon, Battleground of the Middle East
[10] 서적
[11] 웹사이트 Ex-militia fighters in post-war Lebanon http://www.c-r.org/s[...] 2013-09-23
[12] 웹사이트 Lebanon's History: Civil War http://www.ghazi.de/[...]
[13] 서적 Lebanon: Current Issues and Background
[14] 서적 The Ottoman Twilight in the Arab Lands: Turkish Memoirs and Testimonies of the Great War https://books.google[...] Academic Studies PRess 2019-06-03
[15] 웹사이트 Arab Officers in the Ottoman Army https://encyclopedia[...]
[16] 학술지 Ottoman Arab Officers between Nationalism and Loyalty during the First World War https://www.jstor.or[...] 2013
[17] 서적 The Great War for Civilisation: The Conquest of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07-12-18
[18] 서적 Nazira Zeineddine: A Pioneer of Islamic Feminism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2-12-01
[19] 웹사이트 National Council of Arab Americans (NCA) http://www.arab-amer[...] 2009-02-26
[20] 웹사이트 National Council of Arab Americans (NCA) http://www.arab-amer[...] 2009-02-26
[2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Kataeb Party https://www.lebanese[...] 2022-05-09
[22] 서적 Beware of Small States: Lebanon, Battleground of the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PublicAffairs
[23] 뉴스 A Setback for Syria in Lebanon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86-02-02
[24] 학술지 Change and Continuity among the Lebanese Druze Community: The Civil Administration of the Mountains, 1983–90 https://www.jstor.or[...] 1993
[25] 잡지 Lebanon: Carving Out a Christian Canton https://content.time[...] 2022-05-11
[26] 잡지 Lebanon: Carving Out a Christian Canton https://content.time[...] 1976-07-26
[27] 잡지 Lebanon: Carving Out a Christian Canton https://content.time[...] 1976-07-26
[28] 서적
[29] 서적 Going all the way : Christian warlords, Israeli adventurers, and the war in Lebanon Vintage Books 1984
[30] 웹사이트 In the Spotlight: PKK (a.k.a KADEK) Kurdish Worker's Party http://www.cdi.org/t[...] Cdi.org 2012-02-23
[31] 웹사이트 Abdullah Öcalan en de ontwikkeling van de PKK http://www.xs4all.nl[...] Xs4all.nl 2012-02-23
[3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niqash.or[...] 2012-02-29
[33] 웹사이트 Lebanon – Armenian Parties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2012-02-23
[34] 서적 My Brother's Road: An American's Fateful Journey to Armenia I.B. Tauris
[35] 서적 The Breakdown of the State in Lebanon, 1967–1976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The Shi'a of Lebanon – The Shi'a of Lebanon Clans, Parties and Clerics https://epdf.pub/the[...] Tauris Academic Studies
[37] 서적 Amal and the Shiʻa: Struggle for the Soul of Leban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1987
[38] 서적 Urban Unrest in the Middle East: A Comparative Study of Informal Networks in Egypt, Iran, and Lebanon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3
[39] 서적 Lebanon: Current Issues and Background https://books.google[...] Nova Publishers 2003
[40] 서적 A Lebanon Defied: Musa Al-sadr And The Shi'a Commun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41] 서적 Arab Shiites: Citizenry and Identity https://books.google[...] المركز العربي للأبحاث ودراسة السياسات 2019
[42] 서적 Shi'ite Lebanon: Transnational Religion and the Making of National Identities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1
[43] 학술지 Hizbollah–Syrian Intelligence Affairs: A Marriage of Convenience 2011
[44] 웹사이트 Lebanon: a country study https://cdn.loc.gov/[...] 1989
[45] 서적 The Shah of Iran, the Iraqi Kurds, and the Lebanese Shia https://link.springe[...] Springer 2018
[46] 서적 Lebanon: A History, 600–2011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47] 서적 Hizbu'llah: Politics and Religion https://www.amazon.c[...] Pluto Press
[48] 서적 Goodbye Lebanon. Israel's First Defeat. Rimal Publication
[49] 서적 Rise and Kill First: The Secret History of Israel's Targeted Assassinations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2018
[50] 서적 The Lessons Of Modern War: Volume I: The Arab-israeli Conflicts, 1973–1989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
[51] 서적 Hezbollah A Short Histo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52] 서적 Middle East Contemporary Survey, 1984–1985 https://books.google[...] The Moshe Dayan Center
[53] 서적 La Cause arménienne Le Seuil 1984-01-19
[54] 서적 Armenia in Crisis: The 1988 Earthquake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55] 서적 Beirut Fragments: A War Memoir https://archive.org/[...] Persea Books
[56] 웹사이트 Christian massacres in Chouf and in West Beirut https://civilsociety[...] 2014-07-30
[57] 문서 2.1 Sectarian-based Violence in the Shuf. https://www.ictj.org[...]
[58] 서적 The Syrian Occupation of Lebanon
[59] 서적 The Ford Presidency: A History https://books.google[...] McFarland
[60] 서적 Use of Force: The Practice of States Since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61] 서적 Palestine and the Arab Israeli Conflict
[62] 학술지 Lebanon's Legacy of Political Violence: A Mapping of Serious Violation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and Humanitarian Law in Lebanon, 1975–2008 https://www.ictj.org[...] 2013-09
[63] 서적 The World Handbook of Political and Social Indicators
[64] 뉴스 133 Statement to the press by Prime Minister Begin on the massacre of Israelis on the Haifa – Tel Aviv Road – 12 March 1978 http://www.mfa.gov.i[...] Israeli Ministry of Foreign Affairs 1978-03-12
[65] 서적
[66] 서적 The PLO Weidenfeld and Nicolson
[67] 서적
[68] 간행물 1979-08-31
[69] 간행물 1979-07-06
[70] 간행물 1981-04-10
[71] 간행물 Events in South, Begin, US blocked Israeli intervention, commando raids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1-04-24
[72] 간행물 Rafael Eitan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1-05-08
[73] 간행물 “factions slaughtering each other”.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1-06-05
[74] 간행물 fighting in Baalbek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1-04-10
[75] 간행물 Sidon atrocity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1-04-24
[76] 간행물 Bashir Gemayil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1-05-08
[77] 간행물 No record of number of Syrians killed in helicopters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1-05-08
[78] 간행물 Damour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1-06-05
[79] 간행물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1-07-05
[80] 논문 The Bombing of Beirut
[81] 서적 Smith, op. cit.
[82] 서적 Smith, op. cit.
[83]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508 https://www.jewishvi[...]
[84]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509 http://www.globalpol[...]
[8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 509 http://www.globalpol[...]
[8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Draft Resolution of 8 June 1982 (Spain) http://domino.un.org[...]
[87]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vised Draft Resolution of 25 June 1982 (France) http://domino.un.org[...]
[88] 뉴스 Chomsky, op. cit., p. 198 New York Times 1982-06-27
[89] 웹사이트 Ronald Reagan on War & Peace http://www.ontheissu[...] Ontheissues.org 2012-02-23
[90] 서적 Israel's Lebanon War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91] 웹사이트 Obituary: Elie Hobeika | World news | The Guardian | Mostyn, Trevor, Friday 25 January 2002 https://www.theguard[...] guardian.co.uk 2002-01-25
[92] 서적 Beware of small states: Lebanon, battleground of the Middle East Nation Books
[93] 서적 From Beirut to Jerusalem https://archive.org/[...] Macmillan
[94] 서적 The Palestinian Liberation Organisation: people, power, and politic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5] 서적 Israel's Lebanon War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96] 서적 Chomsky, op. cit.
[97] 웹사이트 17 May Agreement http://www.lebanese-[...]
[98] 웹사이트 Israel and South Lebanon http://www.washingto[...] 1984-03-05
[99] 서적 Peacekeepers at War: Beirut 1983 – The Marine Commander Tells His Story Potomac Books
[100] 서적 Peacekeepers at War: Beirut 1983 – The Marine Commander Tells His Story Potomac Books
[101] 뉴스 secret history Hezbollah https://web.archive.[...] Weekly Standard 2013-11-25
[102] 간행물 Middle East International 1995-04-28
[103] 뉴스 Remembering the uprising of Feb. 6, 1984 https://www.dailysta[...] The Daily Star 2004-02-07
[104] 서적 Fisk
[105] 간행물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5-12-20
[106] 간행물 Middle East International No 257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5-08-23
[107] 간행물 Middle East International No 258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5-09-13
[108] 간행물 Middle East International No 259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5-09-27
[109] 간행물 Middle East International No. 260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5-10-11
[110] 간행물 Middle East International No. 268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6-02-07
[111] 간행물 Middle East International No. 284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6-05-02
[112] 서적 Goodbye Lebanon. Israel's First Defeat Rimal Publication 2010
[113] 뉴스 Doctrine, Dreams Drive Saddam Hussein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1990-08-12
[114] 뉴스 Doctrine, Dreams Drive Saddam Hussein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1990-08-12
[115] 뉴스 The Ordeal for Lebanon: 14 Years and 7 Month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9-11-23
[116] 간행물 Middle East International No. 369, No. 370, No. 371 Middle East International 1990-02-16, 1990-03-02, 1990-03-16
[117] 문서 Harris
[118] 문서 Baroudi and Tabar 2009
[119] 뉴스 After 2 Decades, Scars of Lebanon's Civil War Block Path to Dialogu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2
[120] 간행물 Middle East International No 361 Middle East International 1989-10-20
[121] 비디오 Lebanon: What lies beneath Al Jazeera 2010
[122] 잡지 Lebanon: The Terrible Tally of Death http://www.time.com/[...] Time 1992-03-23
[123] 학술지 Beirut in Baghdad: Is the 'Lebanonization' of Iraq complete? https://foreignpolic[...] Foreign Policy 2010-08-24
[124] 뉴스 Crocker: Iran is pushing for the 'Lebanonization' of Iraq https://www.politico[...] Politico 2008-04
[125] 서적 Iran's Foreign Policy After the Nuclear Agreement: Politics of Normalizers and Traditionalist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126] 뉴스 Worse Than Being Lebanonized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1991-04-26
[127] 서적 Religion, National Identity, and Confessional Politics in Lebanon: The Challenge of Islamism Palgrave Macmillan US 2011
[128] 학술지 Islamization versus Talibanization: Is Pakistan Drifting Towards 'Lebanonization'? Strategic Analysis 2009
[129] 뉴스 Genesis The Last Domino? Tour https://plsn.com/arc[...] PLSN 2022-02-04
[130]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Out of Life http://www.festival-[...] festival-cannes.com 2009-08-09
[131] 웹사이트 The Road to Peace: Paintings in Times of War, 1975–1991 http://beirutartcent[...] Beirut Art Center 2012-01-20
[132] 뉴스 Face of War Pervades New Beirut Art Cent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07-06
[133] 웹사이트 'Memory Box' Review: A Collection of Family Artifacts Spark Links to the Past https://variety.com/[...] Variety 2021-03-23
[134] 문서 小山 (1977)
[135] 문서 小山 (1977)
[136] 문서 小山 (1977)
[137] 문서 小山 (1977)
[138] 문서 小山 (1977)
[139] 웹사이트 レバノンにおける新大統領選出について(外務報道官談話) https://www.mofa.go.[...] 外務省 2020-05-15
[140] 웹사이트 The Taif Agreement http://www.c-r.org/d[...] 2017-08-09
[141] 서적 Hizb'allah in Lebanon: The Politics of the Western Hostage Crisis St. Martins Press 1997
[142]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GENERAL ASSEMBLY RESOLUTION 60/251 OF 15 MARCH 2006 ENTITLED HUMAN RIGHTS COUNCIL https://web.archive.[...] UN Human Rights Council 2006-11-23
[143] 문서 Things Fall Apart: Containing the Spillover from an Iraqi Civil War
[144] 서적 Islam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2012
[145] 뉴스 Who are the Maronites? http://news.bbc.co.u[...] BBC News – Middle East 2007-08-06
[146] 문서 Beware of Small States: Lebanon, Battleground of the Middle East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